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EET시험 관련 공인정보 (2021년)와 내년 PEET준비는?
    약/약대 2020. 9. 12. 22:13

    이제 쌀쌀해지고 가을날씨네요

     

    곧 있으면 9/16일 PEET시험의 점수발표가 있죠?

     

    올해 PEET에 대한 공인된 정보와 앞으로 2번남은 PEET시험에 대한 정보를 포스팅해보려해요

     

     


     

    PEET시험의 개요

     

    PEET란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을 의미하며

     

    취지는 국민보건증진에 더욱 기여할 수 있고, 국제적 기준에 상응하는 양질의 약사양성을 위해

     

    2006년 고등교육법시행에 따라 2009년부터 약학대학의 학제가 4년제에서 6년제로 개편되었어요

     

    이에 따라 2009년부터 약사가 되려면 기본적으로 다른 대학이나 학과등에서 2년동안

     

    기초소양교육을 이수한 뒤 PEET시험을보아 약학대학별로 요구하는 기량을 갖추어

     

    약학대학 3학년에 편입학을 하게 만든 제도에요

     

     


     

     

    여기서 기본조건인 2년에 대해 정확한 기준이 궁금하시다면

     

    PEET학원 홈페이지를 통한 문의전화로 자세히 문의해도 되지만

     

    기본적으로 서울 상위대학이건, 지방에 있는 대학이건 상관없이 2년 수료를 하면 됩니다

     

    방송통신대학으로도 학점이수를 해서 2년의 자격요건을 갖출 수 있어요

     

    다만 선수과목이라고 지정된 과목을 일정학점 (약학대학마다 기준이다름) 이수해야

     

    지원할 수 있는 학교도 있기 때문에, 그리고 매년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기준때문에

     

    희망하는 약학대학의 모집요강을 각각 살펴보셔야 해요

     

     


     

    선수과목의 종류로는

     

    수학(미분적분학, 선형대수)

     

    물리학(일반물리학I, 일반물리학II)

     

    일반생물학(일반생물학I, 일반생물학II)

     

    일반화학(일반화학I, 일반화학II)

     

    유기화학(유기화학I, 유기화학II)가 있습니다

     

     


     

    공인된 정보에서의 PEET시험의 응시자격으로는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대학 2학년 이상 과정을 수료한 자 또는 2월 수료 예정인 자나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갖춘 자(선수과목 이수 여부 불문)

     

    외국 소재 대학에서 상기와 동일한 자격을 갖춘자  라고 나와있습니다

     

     

     


     

    PEET시험을 '접수'하고 '응시'하려는 자격요건에는 선수과목이 없지만

     

    원하는 약학대학에 지원할때는 선수과목이 필요할 수 도 있다는 말이에요

     

    외국 소재 대학은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외국 소재 대학을 다니다 PEET시험을 치실분은

     

    따로 맞춤문의를 하셔야 할듯해요

     

     


     

     

    PEET시험의 과목으로는 

     

    저번 포스팅에 자세한 내용과 저의 개인적 후기를 담아뒀으니 저번 후기를 참조하시면 될 듯합니다

     

    (링크)

     

     


     

     

    PEET시험의 시행공고를 볼게요

     

    이번에 시행된 PEET시험의 표를 보여드릴게요

     

     

    이미 지나간 올해 시험이지만 보여드린 이유는

     

    정확한 날짜의 변동은 매년 있지만 월자체는 똑같기 때문입니다

     

    사진에 표시해드린 것처럼

     

    시험의 접수는 6월, 수험표교부는 7월(출력가능합니다 이때부터), 시험은 8월, 

     

    시험지구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전주로 6곳, 성적발표는 한달뒤인 9월에 이루어 집니다

     

    내년과 내후년시험에도 월자체는 동일할 확률이 매우높으니 참고하시면 될것 같아요

     

    시험의 접수, 수험표출력, 성적표열람은 kpeet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다음으론 수험생의 유의사항입니다

     

     

     

    기본사항에 보시면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역대 시험에서 없던 규칙이 있으니 주의하셔야 해요

     

    코로나19 확진환자 및 자가격리자로 지정이 되면 시험에 응시가 불가능하니

     

    시험날짜가 다가오면 반드시 방역수칙을 지켜 건강에 유념해야 합니다

     

    다만 증상 검사결과에 따라 예비시험실에서 치룰수 있으니, 확진자만 되지 않으면

     

    큰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부디 내년에는 코로나가 진정되어 이런 항목들도 사라졌으면 ㅎ...

     

    또 한가지 주의해야 할점으로는 원서접수가 마감된 후에는 시험지구가 변경이 불가능하다네요

     

    시험지구는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6개 도시에서 실시하고

     

    각 도시마다 시험지구가 매년 정해져서 나옵니다

     

    한두군데가 시험장소가 아닌 여러군데에서 시험보니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거리가 애매하신 수험생들은 시험전날 근처 숙박업체에서 묵고 시험보러 가는 경우도 많아요

     

     

     

    지난번 시험의 시험지구 응시생 비율입니다

     

    서울이 대략 60%정도로 가장 응시인원이 많고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전주 순으로 응시생이 많네요

     

    남여의 응시비율도 대략 거의 1:2정도로 여자 수험생이 많은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시험 당일날 주의사항입니다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는 보통 다른 시험들과 유사하니 한번 읽어보시면 될듯합니다

     

     


     

    마지막으로 의의신청인데요

     

    시험을 치르고 난 후 성적발표전인 한달사이에

     

    의의신청을 받습니다

     

    문제에 오류가 있거나 복수정답으로 인정될 여지가 있는 경우

     

    kpeet쪽에 의의신청을 할 수 있고 받아들여진다면 복수정답으로 인정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복수정답으로 인정된 사례들도 상당히 많으니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코로나 2차유행도 조금씩 진정세를 보이고 있네요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인해 소상공인들의 피해부터

     

    코로나블루, 원격의료, 원격수업등 일상에서 정말 수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요즘입니다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

     

    모두들 조금만 더 힘내셔서 원하시던 약사의 모습에 다가가기위한 여정에

     

    꼭! 꼭 성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